안녕하세요, 한글 공부 여섯 번째 날이에요!
어제 우리는 겹받침에 대해 배웠어요. 오늘은 한글을 실제로 말하고 들을 때 자주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발음 변화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.
한국어는 문법은 정확하게 써도, 발음은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가 있어요. 이런 걸 음운 현상 또는 발음 변화라고 해요.
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, 자주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요!
1. 왜 발음이 변할까요?
사람들이 말을 빨리하거나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입이 더 편한 소리로 바꾸는 거예요.
예를 들어, "국물"은 글자 그대로 읽으면 [국물]이어야 하지만, 실제로는 [궁물]처럼 들려요.
이런 현상을 이해하면 듣기 실력이 좋아지고, 자연스러운 발음도 할 수 있어요.
2. 자주 쓰이는 발음 변화 유형 4가지
① 비음화 (Nasalization)
받침이 ㄱ, ㄷ, ㅂ인데, 뒤에 ㄴ, ㅁ이 오면 → [ㅇ, ㄴ, ㅁ] 소리로 바뀌어요.

✔ 비밀 팁: 입 막고 코로 소리 내는 소리 → 비음
② 유음화 (Lateralization)
ㄴ과 ㄹ이 만날 때 → 둘 다 ㄹ로 바뀌어요.

✔ 신라호텔은 “실라호텔”처럼 들려요!
③ 구개음화 (Palatalization)
‘ㄷ’이나 ‘ㅌ’ 뒤에 ‘이’가 오면 → ‘ㅈ’이나 ‘ㅊ’ 소리로 바뀌어요.

✔ 혀를 입천장 쪽으로 올리며 발음하는 소리!
④ 된소리되기 (Tensification)
받침 다음에 예사소리(ㄱ, ㄷ, ㅂ, ㅅ, ㅈ)가 오면 → 된소리(ㄲ, ㄸ, ㅃ, ㅆ, ㅉ)로 바뀌어요.

✔ 조금 더 힘 있게, 세게 발음하면 돼요!
3. 연습 문제 – 직접 해볼까요?
아래 단어들을 실제 발음으로 바꿔보세요.
1. 밥물 → ( )
2. 신라 → ( )
3. 같이 → ( )
4. 옷가방 → ( )
정답:
1. 밤물
2. 실라
3. 가치
4. 옫까방
4. 오늘의 복습 정리
한국어는 실제 발음이 표기와 다를 수 있다!
비음화, 유음화, 구개음화, 된소리되기는 아주 자주 나오는 발음 변화예요.
자주 듣고, 따라 읽으면서 익히면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어요!
5. 예고편 - 내일은?
내일은 드디어 간단한 문장 만들기에 도전해봐요!
이제 발음도 많이 익숙해졌으니, 짧은 문장을 읽고, 말해보는 연습을 할 거예요.
오늘도 수고 많으셨어요!
소리 내서 많이 읽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공부법이에요. 화이팅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