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시험 개요 및 특징
시험 과목 | 통합과학 |
시험 일시 | 2024년 6월 전국연합학력평가 |
문항 수 | 총 20문항 |
출제 방식 | 객관식 5지선다형 (3점짜리 고난도 문항 포함) |
평가 영역 | 물리, 화학, 생명과학, 지구과학 통합 |
핵심 특징 요약:
- 4과학 영역(물·화·생·지)을 고르게 반영
- 탐구 기반 문제와 실생활 연계 문항 증가
- 자료 분석형, 도식 해석형, 추론형 문항 비율 증가
- 2023년 고1 통합과학 모의고사 문제 및 해설(출처: 부산광역시 교육청)
- 2024년 고1 통합과학 모의고사 문제 및 해설(출처: 부산광역시 교육청)
2. 출제 영역 및 유형 분석
📌 1) 물리 영역 (운동과 에너지)
- 낙하 운동, 충격량, 운동량 등 기본 개념 응용
- 평균 힘, 시간 변화, 운동 경로 등을 묻는 탐구형 문항 출제
예시 문항:
- 피겨스케이팅 착지 시 무릎을 구부리면 충격이 줄어드는 이유?
→ 충격량은 일정, 시간 증가 → 평균 힘 감소
출제 의도: 과학 원리를 생활 속 현상과 연결시켜 사고력 평가
📌 2) 화학 영역 (물질의 구성과 변화)
- 이온 결합 vs 공유 결합, 전기 전도성 비교, 화합물 형성 과정
- 실험 설계 → 결과 분석 → 가설 검증하는 과정 중심
예시 문항:
- 포도당과 염화나트륨의 전기 전도성 비교 실험
→ 고체/수용액 상태 전도성 비교
출제 의도: 실험 기반 탐구 능력 및 개념의 정확한 적용 여부 평가
📌 3) 생명과학 영역 (생명의 구성과 유전 정보)
- DNA 구조와 염기쌍, 단백질 합성 과정, 생체 고분자 중심
- 구조–기능 연계, 뉴클레오타이드 단위의 이해
예시 문항:
- DNA의 구성 단위, 상보적 염기쌍 구조, 염기의 종류 유추
출제 의도: 암기보다는 구조 파악과 기능적 이해 강조
📌 4) 지구과학 영역 (우주와 태양계)
- 빅뱅 이론, 우주 배경 복사, 별의 진화, 태양계 형성 과정
- 이미지 기반 자료 해석을 통해 개념을 유도해야 정답 가능
예시 문항:
- 빅뱅 후 우주의 밀도와 온도 변화, 초신성 폭발의 결과 등
출제 의도: 지구과학적 사고력과 우주 이해를 동시에 평가
3. 문제 유형별 분석 정리
개념 확인형 | 과학 기본 개념 직접 질문 | 1번(물과 단백질), 4번(반도체), 10번(결합) |
자료 해석형 | 그림/표/탐구 과정 분석 | 5번(정상 우주론), 14번(진공 실험) |
논리 추론형 | 주어진 조건 통해 원인/결과 도출 | 9번(충격량), 13번(화학 결합) |
탐구 기반형 | 실험 설계→분석→결론 유도 | 10번(전기 전도 실험), 15번(주기율표 실험) |
통합 사고형 | 여러 개념 연결해 해석 | 7번(우주 배경 복사), 17번(초신성) |
4. 2025학년도 예상 출제 경향
2024년 경향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 유형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🔮 예측 1: “탐구 결과 해석+실험 설계 문항” 증가
- 실험 목적 → 결과 도표 → 결론 도출 흐름 중요
- 과학적 사고 흐름과 데이터 해석 능력까지 평가
🔮 예측 2: 우주 진화와 별의 생성 과정 고난도 문항
- 우주 배경 복사, 초신성, 철보다 무거운 원소 생성 흐름
- 생소한 단어보다는 과정 간 인과 관계 파악 중요
🔮 예측 3: 화학 결합 구조 및 물질의 성질 관련 비교형 문항 강화
- 이온 vs 공유, 전도성 차이, 실험결과 비교
- 단순 암기보다는 정확한 비교와 적용력 필요
🧪 5. 과학 영역별 단원별 학습 포인트
🌟 물리: 운동과 에너지
낙하 운동 | 자유 낙하, 수직/수평 운동 구분 | 수평 방향 속도는 일정, 수직 방향은 가속도 |
운동량과 충격량 | 힘 × 시간 = 충격량, 충격량 = 운동량 변화 | 충격량 일정 시 시간과 힘의 관계 반비례 |
평균 속도/가속도 | 이동 거리와 시간 관계 | 그래프 해석 훈련 필수 (거리–시간, 속도–시간) |
학습 팁:
- 피겨 착지, 에어백 원리 등 생활 속 물리 개념과 연결
- 실험 장면을 말로 설명해보는 연습 권장
⚗️ 화학: 물질의 구성과 변화
화학 결합 | 이온 결합, 공유 결합 | 고체/수용액 전도성 비교, 입자 배열 특징 |
원소의 주기성 | 족, 주기별 성질 비교 | 주기율표 해석 → 반응성, 전자 배치 파악 |
분자 구조 | 단일결합, 이중결합, 삼중결합 | 결합 구조가 성질에 미치는 영향 연결 |
학습 팁:
- 전기 전도성 실험 결과를 직접 정리해보고,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 설명하게 하기
🧬 생명과학: 생명의 구성과 유전 정보
DNA 구조 | 염기쌍, 뉴클레오타이드, 이중 나선 | A-T, G-C 상보적 결합 관계 익히기 |
단백질 합성 | 아미노산, 펩타이드 결합 | 형성과정: 아미노산 → 펩타이드 결합 → 단백질 |
생체 고분자 | 단백질, 탄수화물, 핵산 등 구성 | 각 물질의 기능과 구조 구분 훈련 |
학습 팁:
- DNA 그림 보고 염기쌍 짝 맞추기, 단백질 형성 흐름 말로 설명해 보기
🌍 지구과학: 우주와 태양계
우주의 탄생과 진화 | 빅뱅, 우주 배경 복사, 팽창 | 우주 팽창 → 밀도/온도 변화 그래프 해석 |
별의 진화 | 주계열성 → 초신성 → 중원소 생성 | 질량에 따른 별의 진화 흐름 암기 X → 이유 이해 |
태양계 형성 | 성운, 원시 태양, 미행성체 | 거리/밀도 관계, 중력 작용 파악 |
학습 팁:
그림이나 다큐멘터리를 보며, 별의 탄생-소멸 과정을 시간 흐름으로 정리
🔮 6. 과학 영역별 추가 예상 문제 (2025 대비용)
📘 Ⅰ. 물리 영역 예상문제
1. 자유 낙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① 낙하 시간과 속도는 반비례한다.
②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더 빨리 떨어진다.
③ 중력 가속도는 높이에 따라 달라진다.
④ 진공에서는 질량에 관계없이 같은 가속도로 낙하한다.
⑤ 공기 중에서는 항상 같은 시간에 착지한다.
정답: ④
2. 운동량 보존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?
① 외부 힘이 없는 두 물체의 충돌
② 수레가 벽에 부딪혀 멈춤
③ 얼음 위에서 두 사람이 서로 미는 경우
④ 공중에서 두 물체가 충돌한 후 튕겨 나감
⑤ 로켓이 연료를 분사하며 전진함
정답: ②
3. 충격량이 일정할 때 평균 힘을 줄이는 방법은?
① 힘의 방향을 바꾸기
② 충돌 시간을 줄이기
③ 질량을 늘리기
④ 충돌 시간을 늘리기
⑤ 초기 속도를 빠르게 하기
정답: ④
4. 다음 중 일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힘이 작용한다.
② 물체가 이동한다.
③ 이동 방향과 힘의 방향이 일치한다.
④ 정지한 물체가 유지되도록 버틴다.
⑤ 힘과 이동이 같은 방향일수록 일이 크다.
정답: ④
5. 중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가 증가하는 경우는?
① 낙하 중인 물체
② 지면에 놓인 물체
③ 위쪽으로 던져지는 공
④ 속력이 일정한 자동차
⑤ 고속으로 회전하는 팽이
정답: ③
⚗️ Ⅱ. 화학 영역 예상문제
1. 다음 중 이온 결합 물질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① 고체 상태에서 전기를 잘 통한다.
② 공유 전자쌍에 의해 결합한다.
③ 수용액 상태에서 이온으로 분리된다.
④ 비금속 원소 간 결합이다.
⑤ 실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.
정답: ③
2. 다음 중 주기율표에서 같은 족에 속한 원소의 특징은?
① 같은 전자껍질 수를 가진다.
② 비슷한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.
③ 같은 양성자 수를 가진다.
④ 같은 질량 수를 가진다.
⑤ 항상 동일한 반응성을 가진다.
정답: ②
3. 다음 중 공유 결합 물질의 예로 적절한 것은?
① NaCl
② MgO
③ CO₂
④ CaCl₂
⑤ KBr
정답: ③
4. 산소 원자가 6개인 분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할 때 형성될 수 있는 이온은?
① O⁺
② O²⁻
③ O⁴⁺
④ O³⁻
⑤ O²⁺
정답: ②
5. 물의 분자 구조에서 수소와 산소는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가?
① 이온 결합
② 금속 결합
③ 반데르발스 결합
④ 공유 결합
⑤ 수소 결합
정답: ④
🧬 Ⅲ. 생명과학 영역 예상문제
1. DNA를 구성하는 단위체는 무엇인가?
① 아미노산
② 뉴클레오타이드
③ 포도당
④ 지질
⑤ 뉴런
정답: ②
2. 아데닌(A)과 상보적 결합을 형성하는 염기는?
① 구아닌(G)
② 사이토신(C)
③ 유라실(U)
④ 타이민(T)
⑤ 티로신
정답: ④
3. 단백질의 1차 구조를 결정하는 것은?
① 유전자 염기서열
② 단백질 모양
③ 아미노산의 3차원 구조
④ 물리적 환경
⑤ 세포막의 종류
정답: ①
4.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단백질을 이룰 때 빠지는 물질은?
① 염기
② 산소
③ 질소
④ 물
⑤ 탄소
정답: ④
5. DNA 염기쌍 형성 규칙으로 옳은 것은?
① G–A, C–T
② A–T, C–G
③ A–C, G–T
④ A–G, T–C
⑤ A–U, G–C
정답: ②
🌍 Ⅳ. 지구과학 영역 예상문제
1. 빅뱅 이론의 주요 증거가 아닌 것은?
① 우주 배경 복사
② 은하의 적색 편이
③ 별의 탄생 주기
④ 우주의 팽창
⑤ 수소와 헬륨의 비율
정답: ③
2. 별이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후 남기는 잔해로 옳은 것은?
① 백색왜성
② 행성
③ 성운
④ 갈색왜성
⑤ 주계열성
정답: ③
3. 태양계의 형성과정에서 ‘성운’이 하는 역할로 옳은 것은?
① 우주 팽창을 유도한다
② 은하 회전을 결정한다
③ 원시 태양과 원반 구조를 만든다
④ 중력을 없앤다
⑤ 별의 온도를 낮춘다
정답: ③
4. 우주 배경 복사의 성격으로 적절한 것은?
① 빛이 전자의 방해 없이 방출되기 전의 현상
② 우주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발생한 빛
③ 우주에서 별이 폭발할 때 생기는 파동
④ 대기권에서 측정되는 지자기
⑤ 지구 내부에서 방출되는 지열
정답: ①
5. 질량이 큰 별이 초신성 폭발 후 남길 수 있는 천체는?
① 백색왜성
② 태양
③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
④ 소행성
⑤ 혜성
정답: ③
👨👩👧 학습 전략
과학 토론 유도 | “왜 이 실험에서는 이 결과가 나왔을까?” 같은 질문을 던져보세요 |
실생활 연계 | 뉴스를 통해 과학 개념을 연계 (예: 전기차 → 전도성 소재) |
학습 흐름 점검 | 실험 목적 → 방법 → 결과 → 결론의 흐름으로 사고하게 훈련 |
단어 암기 X, 과정 중심 O | 과학은 ‘과정 이해’가 핵심, 단어 암기보다 논리적 설명 유도 |
📌 마무리 요약
- 2024 통합과학은 ‘탐구 중심’, ‘실험 분석’, ‘생활 연계’를 강조한 시험
- 2025년에는 이 흐름이 강화되어 탐구형 문항, 자료 해석형, 복합 사고형이 더 늘어날 것
- 각 과학 영역별 단원 개념을 “그림, 실험, 비교표”를 통해 이해하는 훈련이 필수
- 학부모님은 자녀와 함께 과학을 "이야기"하면서 개념을 풀어가며 사고력을 키우는 것이 최고의 공부법